지니포레 아이가 중심인 놀이교육

지역별 교육센터 찾기 ▼
Home
  >  
커뮤니티
  >  
교육칼럼
교육칼럼
커뮤니티
영유아 수족구병 예방 방법 by 아이슐레작성일 : 16.05.26

ti068a4512.jpg
한글 없는 아이랩로고.jpg

♣ 영유아 수족구병 예방 방법 ♣

 

 

수족구병이란?

 

주로 5~8월경에 발병하는 영유아 수족구병은

바이러스성 접촉성 감염병으로 대부분 증상 발생 후 일주일 이후에는

자연적으로 회복하는 질병으로 개인위생관리를 철저하게 하시면

예방이 가능합니다.

 

 

수족구병 증상

 

- 손, 발 입에 수포성 발진이 일어납니다.

- 미열과 인두통 등의 가벼운 증상이 발생합니다.

- 아기가 음식을 먹지 않고 침을 흘리면서 보채거나 칭얼대며

   잠투정을 할 때는 수족구병을 의심해봐야 합니다.

- 입이 아파서 잘 먹지 못할 경우 탈수증세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.

- 열이 심하거나 머리가 아프고 토하거나 목이 뻣뻣해지는 증상이 나타나면

   뇌막염이 동반된 것이 아닌지 병원에서 확인해야 합니다.

 

 

수족구병 예방 및 치료방법

 

- 열이 많이 나는 경우 옷을 벗기고 해열제를 사용합니다.

- 입안에 수족구병이 걸리면 아파서 잘 먹을 수 없으므로 밥보다는

   죽 또는 분유를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.

- 만약 먹지 못한 아이가 8시간 이상 소변을 보지 못하면

   가까운 소아과 또는 피부과를 방문하길 바랍니다.

- 감염이 됐을 경우, 다른 영유아 감염의 확산을 막기 위해 집단생활에서

   제외하는 것이 좋습니다.



 
 
    댓글 0
댓글은 로그인한 사람에게만 허용됩니다.